인프라
쿠버네티스(Kubernetes, k8s)란? 등장배경, 도커, 컨테이너와의 관계
유일리
2024. 1. 12. 12:22
쿠버네티스(Kubernetes, k8s)란?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을 위한 솔루션으로, 다수의 컨테이너를 관리하는데 사용된다. 오케스트레이션이란 여러 서버에 걸친 컨테이너 및 사용하는 환경 설정을 관리하는 행위이다.
쿠버네티스 등장배경
쿠버네티스의 탄생배경을 알기 위해서는 가상화 환경과 컨테이너 환경의 차이부터 알아야 한다. 우선 컨테이너 인프라 환경은 리눅스 운영 체제의 커널 하나에서 여러 개의 컨테이너가 격리된 상태로 실행되는 인프라 환경을 말한다.
다수의 관리자가 수백 또는 수천 대의 서버를 함께 관리하는 기업 환경에서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컨테이너 인프라 환경이 효과적인 것이다. 또한 가상화 환경에서는 각각의 가상 머신이 모두 독립적인 운영 체제 커널을 가지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자원 소모와 성능이 떨어진다. 그러나 컨테이너 인프라 환경은 자원 효율적으로 사용 가능하고 속도도 빠르다.
이렇듯 커널을 공유하여 더 많은 애플리케이션을 올릴 수 있는 컨테이너가 도입되기 시작하면서 늘어난 컨테이너를 관리해야 했다. 기존의 컨테이너 관리 솔루션은 부족한 점이 많았고, 구글의 쿠버네티스가 등장하며 컨테이너 인프라 환경을 좀 더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도커, 컨테이너와 쿠버네티스의 관계
도커는 컨테이너 환경에서 독립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도록 컨테이너를 만들고 관리하는 것을 도와주는 컨테이너 도구이다.
컨테이너는 앱이 구동되는 환경까지 감싸서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격리 기술을 뜻한다.
쿠버네티스는 이런 다수의 컨테이너를 관리하기 위한 기술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