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Azure는 GCP, AWS 등과 같은 퍼블릭 클라우드 플랫폼이다.
우선 Azure에 접속하여 가상머신을 만들어주고, 공용 IP 주소를 할당받는다.
1. window powershell에서 실행해보자.
ssh AZURE아이디@공용IP주소
2.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도커를 설치해보자.
1) 패키지 매니저 업데이트 후 설치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apt-transport-https ca-certificates curl gnupg lsb-release
2) Docker의 GPG key 추가
curl -fsSL https://download.docker.com/linux/ubuntu/gpg | sudo gpg --dearmor -o /usr/share/keyrings/docker-archive-keyring.gpg
3) stable 버전의 repository를 바라보도록 설정
echo \
"deb [arch=amd64 signed-by=/usr/share/keyrings/docker-archive-keyring.gpg] https://download.docker.com/linux/ubuntu \
$(lsb_release -cs) stable" | sudo tee /etc/apt/sources.list.d/docker.list > /dev/null
4) Docker 엔진 설치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docker-ce docker-ce-cli containerd.io
5) 정상 설치 확인
sudo systemctl status docker.service
sudo systemctl status containerd.service
두 명령어를 쳤을때, 초록색으로 active(running)이라고 표시되는지 확인한다. (q를 눌러 빠져나올 수 있다.)
6) docker container를 실행시켜 정상 설치 확인
sudo docker run hello-world
다음과 같이 출력되면 정상적으로 설치된 것이다.
7) 도커 권한 설정
현재 모든 docker 작업이 root 유저에게만 권한이 있기 때문에 host의 기본 유저에게도 권한을 주어야 한다.
새로운 터미널에서 수행하자.
sudo usermod -a -G docker $USER
sudo service docker restart
8) 확인
VM을 로그아웃 한 다음에 다시 로그인하면 다음과 같이 정상적으로 출력된다.
docker ps
'인프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쿠버네티스(Kubernetes) 포트포워딩(PortForward), YAML/POD란? 생성 조회 및 삭제 (0) | 2024.01.12 |
---|---|
쿠버네티스(Kubernetes, k8s)란? 등장배경, 도커, 컨테이너와의 관계 (0) | 2024.01.12 |
[Docker] Azure 가상머신에서 Flask 접속해보기 2 (0) | 2024.01.12 |
[Docker] Docker에 Flask App 배포해보기 (1) | 2024.01.11 |
[Docker] 도커 컨테이너(Docker Container)와 이미지란? (0) | 2024.01.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