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Java/spring

[스프링 입문] ch01 프로젝트 환경설정

by 유일리 2022. 5. 10.
CH01 프로젝트 환경설정

1. JAVA 11 설치

2. IDE: IntelliJ 설치

3. 스프링 프로젝트 생성

gradle project, java, 가장 최신 버전, java 11으로 설정한다.

 

add dependencies에 spring web과 thymeleaf를 추가한다.

 

generate 버튼을 누르고 파일을 다운로드한다.

 

Intelli J에서 build.gradle 파일을 열어준다.

 

Windows: Settings(Ctrl+Alt+S)->gradle


빨간색 박스의 Build and run using를 IntelliJ IDEA로 선택한다.
빨간색 박스의 Build tests using를 IntelliJ IDEA로 선택한다.

(다음과 같이 변경하면 자바로 바로 실행해서 실행속도가 더 빠르다.)

빨간색 박스 Gradle JVM을 새로 설치한 자바 11로 지정해준다.

 

HelloSpringApplication.java에서 main메소드를 실행한 후 localhost:8090을 열어준다.

(localhost:8080서버가 사용중이므로 application.properties에서 포트 번호를 변경해주었다.)

server.port=8090

실행을 종료한 후 사이트에 재접속하면 연결할 수 없음 표시가 뜨면 정상이다.

 

빌드하고 실행하기

cmd) hello-spring 위치에서 gradlew.bat 로 빌드한다.

(빌드 후 build->libs파일이 생기지 않았다면 gradlew clean build를 입력한다.)

 

java -jar hello-spring-0.0.1-SNAPSHOT.jar 를 입력해준다.

 

 


인프런 강의) 김영한의 스프링 입문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