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SP (Internet Service Provider) : 개인, 기업 그리고 다른 조직들에게 인터넷 접속 서비스, 데이터 통신 서비스 및 기타 가치 추가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 IXP (Internet Exchange Point) : 인터넷 교환 지점이라고도 불리며, 다양한 ISP간에 트래픽을 교환하기 위한 물리적 인프라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허브
- Peer : 두 개 이상의 ISP가 서로 직접적으로 트래픽을 교환하기로 합의함 -> 비용 절감 (settlement-free)
- PoP (Point of Presence) : 네트워크와 사용자 사이의 중요한 연결 지점이며 사용자에게 더 빠르고 안정적인 인터넷 접속을 제공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함
- Multi-home : ISP나 큰 기업이 두 개 이상의 ISP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와 연결 -> 하나의 연결에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연결을 통해 서비스를 계속 제공할 수 있는 구성
- Regional ISP : 전통적인 두 계층의 구조 (Global providers + access ISPs)에서는 Global ISP가 모든 접근 ISP와 가까이 있어야 하는데, 현실적으로 지리적 한계, 비효율적인 트래픽 경로 등의 문제가 있기 때문에 탄생
- Content Provider Networks (CPN) : 대규모 콘텐트 제공자로,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 ex)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컴퓨터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인터넷 5계층, Network security (0) | 2023.10.10 |
---|---|
[네트워크] loss, delay, throughput (1) | 2023.10.10 |
[네트워크] Circuit switching vs Packet switching (0) | 2023.10.04 |
[네트워크] Internet, Protocol, Network edge (0) | 2022.10.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