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응용 계층 (Application Layer)
- 통신망으로 연결된 응용 프로세서들의 정보교환 이루어지는 곳
- 클라이언트의 메시지가 메일인지, 파일인지, 웹전송인지 에 따라 프로토콜 설정
- ex) FTP(파일), SMTP(메일), HTTP(웹)
- 전송 계층 (Transport Layer)
- 설정된 프로토콜 전송
- 전송 방식 설정
- ex) TCP, UDP
- 네트워크 계층 (Network Layer)
- 연결된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과 교환 기능 담당
- Routing
- ex) IP, routing protocols
- 링크 계층 (Data Link Layer)
- 한 노드에서 다른 노드로 패킷이 이동할 때 거쳐야함
- ex) Ethernet, Wifi, PPP
- 물리 계층 (Physical Layer)
- 노드에서 노드로 갈 때 실제 전송 매체

application 계층에서 만드는 protocol data unit을 일반적으로 message라 부르고, transport 계층은 segment, network 계층은 datagram, link 계층은 frame 으로 부른다.
패킷은 스위치에서는 link 계층까지만 올라가게 되고 라우터에서는 network 계층까지만 올라가게 된다.
sending host의 transport 계층에서 만든 segment의 header 부분은 receiving host의 transport 계층에서만 열어보게 된다.
중간 라우터의 link 계층에서는 source host에서 작성한 frame header를 보게 된다 (X) -> switch의 link를 거치면서 frame header 내용을 덮어쓰게 된다.
Network security
- DoS (Denial of Service) : 컴퓨터 네트워크나 서비스에 과도한 요청이나 트래픽을 보내서 정상적인 서비스를 방해하거나 중단시키는 공격 방법
- Sniffing : packet sniffing (broadcast media에서 network interface를 promiscuous mode로 설정하고 지나가는 패킷을 모두 보면서 패스워드와 같은 정보를 빼내는 ), IP sniffing (패킷에 false source address를 써서 보내는 공격, end-point authentication으로 해결 가능)
'컴퓨터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loss, delay, throughput (1) | 2023.10.10 |
---|---|
[네트워크] Internet structure : ISP, IXP, Peer, PoP, Multi-home, Regional ISP, Content Provider Networks (0) | 2023.10.04 |
[네트워크] Circuit switching vs Packet switching (0) | 2023.10.04 |
[네트워크] Internet, Protocol, Network edge (0) | 2022.10.27 |
댓글